본문 바로가기

육아일상 정보28

급성 폐쇄성 후두염 오늘 새벽 두번 다시 겪어보고싶지 않은 경험을 했습니다. 아이가 낮까지는 가벼운 감기증세 빼고는 잘 놀고 컨디션 좋았습니다. 다음 날 소아과를 방문해야지 싶어 밤잠을 재웠는데 새벽에 갑작스러운 기침과 함께 오한이 든 것처럼 떨더라구요. 숨소리도 쌕쌕거리며 안좋은게 느껴져 새벽 1시 바로 응급실로 출발했습니다. 병원에서 진단 받은 크룹(Crop)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었습니다. 저도 이런 적이 처음이라 무척이나 당황했는데, 만약 이런 상황이 생긴다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싶어 정리해보겠습니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 후두, 기관, 기관지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며 5세 미만 아이의 하기도 감염 1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3세 영유아의 100명당 3명정도 감염이 되는 질환입니다.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 2023. 6. 21.
아기 핑거푸드 시기 핑거푸드 일찍 시작하기 제가 현재 후회하는 것 중에 하나인데요. 핑거푸드를 빨리 시작하지 못한 것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정리해볼게요. 핑거푸드를 먹여야 하는 이유, 이유식 할 때 핑거푸드를 먹여야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보통 생후 6개월 정도가 되면 이유식을 시작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구요. 분유, 모유를 먹는지 여부와 몸무게가 많고 적고 상관없이 시작합니다. 이유식은 질감 있는 죽부터 처음에 이유식을 시작할 때 대부분은 미음부터 시작하시는 부모님이 많으실거라 생각되는데요. 미음이 아닌 질감죽으로 시작을 한다면 나중에 질감높이기가 훨씬 수월하다고 합니다. 미음을 먼저 먹인다면 미음에 빨리 적응해 추후 질감이 높아지면 힘들어한다고 해요. 보통 핑거푸드는 7-8개월에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기가 잘.. 2023. 6. 15.
아기 눈꼽끼는 이유 어른들은 자고 일어나면 눈꼽이 끼는 경우가 많은데 신생아 영유아들도 눈곱이 끼는 경우가 생각외로 흔합니다. 눈에 특별한 점이 없는데도 눈곱이 생기기도 합니다. 눈곱이 끼는 이유 눈물은 눈꺼풀의 안쪽의 눈물샘이라는 곳에서 나와 눈의 코 쪽 모퉁이에 뚫려있는 눈물길을 통하여 코로 빠져나갑니다. 안약을 넣고난 후 입이 씁쓸한 것도 눈에 넣은 안약이 눈물길을 통해 코를 지나 입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눈물에는 눈을 보호하고 윤활을 도와주는 단백질과 지방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만약 눈물이 너무 많이 만들어지거나 혹은 눈물이 빠져나가지 못할때 눈에서 눈곱이 생기는 것입니다. 신생아들은 몸무게가 작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눈물길이 좁고 눈물이 흐르는 통로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해서 눈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 2023. 6. 13.
아기 돌발진 증상 오늘은 대부분의 아이들이 자라면서 한번씩 겪어봤을 돌치레, 돌발진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저희 아이들은 현재 22개월 이지만 돌까지는 한번도 크게 아팠던 적이 없었어요. 병원도 물론 많이 가지 않았습니다. 12개월이 넘어서부터는 바이러스성 두드러기, 코감기 등 다양하게 아팠고 17개월쯤 찾아왔던 돌발진도 있었습니다. 돌발진이란? 제 6형 또는 제 7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사람이 유일한 숙주이며 침으로 바이러스가 분비되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제6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는 6~15개월의 영유아가 많이 걸린다고 합니다. 증상 발열과 발진이 주요 증상이고 열이 떨어지면서 얼굴과 목, 등에 빨간 반점 형태가 나타나며 이를 열꽃이라고 표현합니다. 대부분은.. 2023. 6. 12.
아기 축농증 증상/비염 증상 소아 비염과 축농증 소아는 성숙하지 못하거나 구조적인 차이 등으로 감기, 기도염 등에 잘 걸리는데 이때 비염 또는 축농증(부비동염)이 함께 오기 쉽다고 합니다. 얼굴에는 코 속의 구멍인 '비강'과 비강 주위의 얼굴 뼈(안면골)에 여러 공간이 있는데 이를 '부비동'이라고 합니다. 부비동과 비강 사이에는 작은 통로로 공기와 접하고 분비물이나 노폐물을 배출합니다. 흔히 비강의 염증은 '비염' 부비동의 염증은'축농증'이라고 칭합니다. 소아의 경우 비강과 부비동의 크기나 위치 등 성인과는 달라 성인의 비염이나 축농증과 양상이 다릅니다. 소아는 아직 어려 언어 표현이 불가한 경우도 있고 구체적인 증상을 이야기하기 어려워하기때문에 문진만으로 진단 내리기가 곤란하다고 합니다.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2023. 6. 1.
기저귀 떼는 시기 아이가 두돌이 되는 시점, 또는 그보다 빠르게 고민하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바로 아기 기저귀 떼는 시기입니다. 주변에 육아를 같이 하는 지인들이 있다면 한번쯤 "아기 기저귀 뗐어요? 어떤식으로 했어요?"라는 이야기들이 오갈텐데요. 저희도 이제 22개월이 된 만큼 적정한 시기를 찾아가는 중입니다. 대소변 가리기 시점 아무래도 주변에 비슷한 개월수의 아이들이 있다면, 내가 부모라면, 당연히 아이들의 발달을 비교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 아이가 더 빨리 태어났지만 기저귀를 아직 하고 있고, 더 늦게 태어난 아이가 벌써 기저귀를 떼었다고 하면 '우리 아이가 조금 늦나?'라며 발달을 걱정하는 고민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쌍둥이다 보니 둘이 비교를 할 수 밖에 없더라구요, 보통 대.. 2023.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