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 아기 축농증 증상/비염 증상 소아 비염과 축농증 소아는 성숙하지 못하거나 구조적인 차이 등으로 감기, 기도염 등에 잘 걸리는데 이때 비염 또는 축농증(부비동염)이 함께 오기 쉽다고 합니다. 얼굴에는 코 속의 구멍인 '비강'과 비강 주위의 얼굴 뼈(안면골)에 여러 공간이 있는데 이를 '부비동'이라고 합니다. 부비동과 비강 사이에는 작은 통로로 공기와 접하고 분비물이나 노폐물을 배출합니다. 흔히 비강의 염증은 '비염' 부비동의 염증은'축농증'이라고 칭합니다. 소아의 경우 비강과 부비동의 크기나 위치 등 성인과는 달라 성인의 비염이나 축농증과 양상이 다릅니다. 소아는 아직 어려 언어 표현이 불가한 경우도 있고 구체적인 증상을 이야기하기 어려워하기때문에 문진만으로 진단 내리기가 곤란하다고 합니다.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2023. 6. 1. 기저귀 떼는 시기 아이가 두돌이 되는 시점, 또는 그보다 빠르게 고민하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바로 아기 기저귀 떼는 시기입니다. 주변에 육아를 같이 하는 지인들이 있다면 한번쯤 "아기 기저귀 뗐어요? 어떤식으로 했어요?"라는 이야기들이 오갈텐데요. 저희도 이제 22개월이 된 만큼 적정한 시기를 찾아가는 중입니다. 대소변 가리기 시점 아무래도 주변에 비슷한 개월수의 아이들이 있다면, 내가 부모라면, 당연히 아이들의 발달을 비교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 아이가 더 빨리 태어났지만 기저귀를 아직 하고 있고, 더 늦게 태어난 아이가 벌써 기저귀를 떼었다고 하면 '우리 아이가 조금 늦나?'라며 발달을 걱정하는 고민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쌍둥이다 보니 둘이 비교를 할 수 밖에 없더라구요, 보통 대.. 2023. 5. 31. 아기 중이염 증상 5월초에 갑자기 찾아왔던 구내염, 그 여파가 아직도 남아있네요. 콧물도 흘린다 싶었는데 역시나 중이염이 찾아왔습니다. 중이염은 한번 오면 코가 조금만 흘러도 또 생기는 것 같아요. 그만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중이염이란? 귀 고막의 안쪽인 중이라고 칭하는 곳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생기는 병입니다. 열이 나고 귀가 아픈 것이 특징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고막이 터져서 고름이 나오기도 하며, 질환이 오래 지속되면 고막 안에 물이 차서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이 좋아지고는 하지만 장기전으로 가면 당연히 좋지 않으니 병원은 꼭 가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 열이 꼭 납니다. 저희 아이 같은 경웨는 고열이 지속되는건.. 2023. 5. 30. 영유아 변비 어른들도 변비가 있으면 고생하는거 화장실 가기를 두려워 하시는 분들이라면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그런 사람에 해당하는데요. 아직 말을 잘 하지 못하는 아기들도 변비가 있을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영유아 변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변비란? 배변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배변을 할 때 무리한 힘을 필요로 하거나 과도하게 딱딱한 변을 보는 경우, 항문 직장의 폐쇄감 또는 불완전한 배변감 등이 있을때를 뜻합니다. 진단 기준 보통 변비는 변을 보는 횟수를 기준으로 한다고 생각하실텐데 꼭 그렇지 않습니다. 아이가 변을 쉽게 싸는지(힘들어 하는게 보이는지), 변의 양상이 굵거나 딱딱하지는 않은지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ROME IV라는 진단 기준으로.. 2023. 5. 17. 아기 항생제 복용 (필수) 아기를 키우다보면 병원 방문은 주기적으로 하게 되고 또한 아기가 아프기라도 하면 상황에 따라 항생제를 처방 받는 경우도 있는데요. 항생제는 임의적으로 중간에 복용 중지 하거나 처방해준대로 약을 복용하지 않음면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세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항생제 내성을 생각하면 보통은 남용하는 것만 생각할 수 있는데, 처방 받은 항생제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성이란? 세균을 없애주는 항생제를 사용해도 세균이 더이상 죽지 않는 경우를 뜻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항생제를 처방받아 복용을 하여도 질병이 나아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세균이 내성을 갖게 되는 경우는 보통 2가지로 정리합니다. 세균이 자신이 경험한 항생제에 대해서 내성을 얻는 경우, 또는 항생제 내성이 있.. 2023. 5. 12. 아기 귀두표피염 저희 쌍둥이들은 둘다 남아입니다. 아무래도 저는 엄마이기때문에 생식기 관련 몰랐던 부분이 있었는데요. 어느 날 어린이집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첫째 아이가 귀두 끝이 빨갛게 되어있으며 소변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전화였습니다. 오후에 병원을 데려가보겠다고 이야기 하고 하원시키며 보니 생식기가 더 빨갛게 되어있더라구요. 근처 소아과를 방문하여 검진을 받으니 '귀두표피염'이라고 하였습니다. 귀두표피염이란? 아직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남자아이에게 비교적 흔히 생기는 질병입니다. 음경의 피부 표면에 생긴 상처 틈새로 세균이 침투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보통 2세 이하의 어린이들에게 흔하며 1세 미만 영유아에게는 급성세균성 요로감염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이 더욱 신경쓰고 조심하여야합니다. 발생 원인 여름철에 물놀이를 .. 2023. 5. 10. 이전 1 2 3 4 5 다음